수 - 영원해!
『수, 영원해』는 수잔에게 보낸 디킨슨의 시들 가운데서 골라 번역한 시를 묶은 시집이다. 총 77편의 시를 8개의 장으로 나누어 실었다. 여기에는 시인의 수잔에 대한 그리움, 찬사, 정념, 애틋함을 담아 표현한 시가 다수를 이룬다. 수잔은 디킨슨의 오랜 친구이자 오빠의 아내였지만, 이 이름을 훌쩍 뛰어넘는 누군가이기도 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디킨슨을 퀴어라 부를 수 있을까. 기성의 관습과 통념, 상징체계 바깥으로 스스럼없이 건너가는 이가 퀴어라면 디킨슨 역시 그러고도 남는 존재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수잔과 디킨슨, 이 두 사람 사이를 채웠던 정동에 완전히 부합하는 단어는 그리 쉽게 찾을 수 없다. 시 속의 문장은 언제나 이미 반쯤은 숨어 있는 문장이며, 무언가를 숨기는 문장이므로. 진술을 유예하며, 읽는 눈을 유인하는 시적 단서에 불과하므로.
어쩌면 디킨슨은 시의 한 모퉁이에 투명한 글씨로 독자의 주소를 써 넣었을지도 모른다. 이번 시집 전체가 반쯤 열린 채 독자를 향해 무한히 생성되고 영원히 배달되는 편지 같은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수 - 영원해!』는 이제 그렇게 수 혹은 수잔이 아닌, 바로 그곳의 당신을 기다린다.
본문에는 번역과 함께 원문인 영문 시를 함께 실었다. 원문 텍스트는 에밀리 디킨슨 아카이브에 올라와 있는 시인의 필사 원고가 바탕이 되었다. 번역자이자 파시클 대표인 박혜란이 필사 원고를 훑으며 직접 선별, 구성해 편집하고 번역했다.
에밀리 디킨슨의 시들은 제목이 없어서 차례에는 각 시의 첫 행을 두었다. 가급적 시인의 단어 선택, 시행 구분, 연 구조를 그대로 반영해 원문 텍스트를 구성했다. 디킨슨의 필사 원고를 텍스트로 번역했기에 20세기에 출간된 디킨슨 전집들에 기반한 기존 번역들과는 시의 구성과 내용이 다르다. 디킨슨만의 고유하고도 고전적인 시 세계 및 문체를 더 가깝게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에밀리 디킨슨을 보는 다양한 해석과 시각, 새로운 접근들
19세기 당시 미국 휘그당을 이끌었던 가문에서 태어나 결혼하지 않고 외부 세계와도 교류 없이 살았던 에밀리 디킨슨. 생전 공개하지 않았던 1,800편이 넘는 시가 침대와 옷장에서 발견되었다. 평생 흰옷만 입고 살았다는 이야기들은 일화를 넘어 시인을 묘사하는 데 늘 따라다니는 그림자와 같아서, 그를 더욱 궁금하고 신비롭고 특별한 존재로 만들기도 했지만, 한편으론 그를 이상하고 사교성 없는 사람으로 여겨지도록 만들기도 했다.
병원 기록에 의하면, 오래도록 신경쇠약으로 고생했고 1830년 태어나 1886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평생 비혼으로 아버지의 저택에서 살았다. 10대를 보낸 애머스트 아카데미에서는 건강 탓에 학교를 쉬는 기간이 많았음에도 매우 총명하고 뛰어난 학생으로, 영어와 고전문학, 식물학, 기하학, 수학, 역사, 철학 등 학업에 열심이었다. 학교에서 수잔 헌팅턴 길버트를 비롯해 평생의 친구들을 사귀게 되었는데 친구들에게 위트와 유머가 넘치는 수수께끼를 담은 시들을 보내거나 시 쓰기에 대한 애정과 열망을 고백하기도 했다. 가까운 이들에게는 상실과 아픔에 대한 격려와 위로를 담은 쪽지들을 보냈다.
은둔에 들어간 것으로 여겨지는 30대 중반 이후 평생 병석에 있던 어머니를 돌보고 가사를 책임지느라 고되었을 테지만, 56세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 내내 시 쓰기에 충실했다. 한편 디킨슨의 호밀빵은 유기농 레시피로 유명하고 시인의 정원은 정원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식물표본집도 식물학자들에게 중요한 자료로 남아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남북전쟁이 일어나고 개인적으로는 소중한 이들과 사별하며 겪은 상실과 변화가 시인의 언어와 사상의 흔적이 되어 후대 독자들에게 숙제를 남겼다. 시대에 따라 문학이론, 비평 방식이 바뀌고 에밀리 디킨슨의 시에 대한 평가도 달라지고 있다. 최근에는 에밀리 디킨슨에 관한 다양한 해석과 시각을 담은 영화나 드라마도 활발히 제작되고 있다.
수 - 영원해!
『수, 영원해』는 수잔에게 보낸 디킨슨의 시들 가운데서 골라 번역한 시를 묶은 시집이다. 총 77편의 시를 8개의 장으로 나누어 실었다. 여기에는 시인의 수잔에 대한 그리움, 찬사, 정념, 애틋함을 담아 표현한 시가 다수를 이룬다. 수잔은 디킨슨의 오랜 친구이자 오빠의 아내였지만, 이 이름을 훌쩍 뛰어넘는 누군가이기도 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디킨슨을 퀴어라 부를 수 있을까. 기성의 관습과 통념, 상징체계 바깥으로 스스럼없이 건너가는 이가 퀴어라면 디킨슨 역시 그러고도 남는 존재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수잔과 디킨슨, 이 두 사람 사이를 채웠던 정동에 완전히 부합하는 단어는 그리 쉽게 찾을 수 없다. 시 속의 문장은 언제나 이미 반쯤은 숨어 있는 문장이며, 무언가를 숨기는 문장이므로. 진술을 유예하며, 읽는 눈을 유인하는 시적 단서에 불과하므로.
어쩌면 디킨슨은 시의 한 모퉁이에 투명한 글씨로 독자의 주소를 써 넣었을지도 모른다. 이번 시집 전체가 반쯤 열린 채 독자를 향해 무한히 생성되고 영원히 배달되는 편지 같은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수 - 영원해!』는 이제 그렇게 수 혹은 수잔이 아닌, 바로 그곳의 당신을 기다린다.
본문에는 번역과 함께 원문인 영문 시를 함께 실었다. 원문 텍스트는 에밀리 디킨슨 아카이브에 올라와 있는 시인의 필사 원고가 바탕이 되었다. 번역자이자 파시클 대표인 박혜란이 필사 원고를 훑으며 직접 선별, 구성해 편집하고 번역했다.
에밀리 디킨슨의 시들은 제목이 없어서 차례에는 각 시의 첫 행을 두었다. 가급적 시인의 단어 선택, 시행 구분, 연 구조를 그대로 반영해 원문 텍스트를 구성했다. 디킨슨의 필사 원고를 텍스트로 번역했기에 20세기에 출간된 디킨슨 전집들에 기반한 기존 번역들과는 시의 구성과 내용이 다르다. 디킨슨만의 고유하고도 고전적인 시 세계 및 문체를 더 가깝게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에밀리 디킨슨을 보는 다양한 해석과 시각, 새로운 접근들
19세기 당시 미국 휘그당을 이끌었던 가문에서 태어나 결혼하지 않고 외부 세계와도 교류 없이 살았던 에밀리 디킨슨. 생전 공개하지 않았던 1,800편이 넘는 시가 침대와 옷장에서 발견되었다. 평생 흰옷만 입고 살았다는 이야기들은 일화를 넘어 시인을 묘사하는 데 늘 따라다니는 그림자와 같아서, 그를 더욱 궁금하고 신비롭고 특별한 존재로 만들기도 했지만, 한편으론 그를 이상하고 사교성 없는 사람으로 여겨지도록 만들기도 했다.
병원 기록에 의하면, 오래도록 신경쇠약으로 고생했고 1830년 태어나 1886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평생 비혼으로 아버지의 저택에서 살았다. 10대를 보낸 애머스트 아카데미에서는 건강 탓에 학교를 쉬는 기간이 많았음에도 매우 총명하고 뛰어난 학생으로, 영어와 고전문학, 식물학, 기하학, 수학, 역사, 철학 등 학업에 열심이었다. 학교에서 수잔 헌팅턴 길버트를 비롯해 평생의 친구들을 사귀게 되었는데 친구들에게 위트와 유머가 넘치는 수수께끼를 담은 시들을 보내거나 시 쓰기에 대한 애정과 열망을 고백하기도 했다. 가까운 이들에게는 상실과 아픔에 대한 격려와 위로를 담은 쪽지들을 보냈다.
은둔에 들어간 것으로 여겨지는 30대 중반 이후 평생 병석에 있던 어머니를 돌보고 가사를 책임지느라 고되었을 테지만, 56세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 내내 시 쓰기에 충실했다. 한편 디킨슨의 호밀빵은 유기농 레시피로 유명하고 시인의 정원은 정원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식물표본집도 식물학자들에게 중요한 자료로 남아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남북전쟁이 일어나고 개인적으로는 소중한 이들과 사별하며 겪은 상실과 변화가 시인의 언어와 사상의 흔적이 되어 후대 독자들에게 숙제를 남겼다. 시대에 따라 문학이론, 비평 방식이 바뀌고 에밀리 디킨슨의 시에 대한 평가도 달라지고 있다. 최근에는 에밀리 디킨슨에 관한 다양한 해석과 시각을 담은 영화나 드라마도 활발히 제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