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돌과 어떤 것
식물학을 전공해 책 짓는 일을 하는 이갑수의 산문집 『나무와 돌과 어떤 것』이 출간되었다. 이 책에는 사계절을 테마로 하는 13편의 긴 산문과 사계절을 이십사절기로 들여다보는 79편의 짧은 산문이 실려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계절에 걸친 기록 중에는 친숙한 이름과 낯선 이름이 공존한다. 벚나무나 목련, 개나리, 살구나무, 대나무같이 익숙한 나무들이 있는가 하면 말오줌때, 귀룽나무, 덜꿩나무, 물박달나무, 까마귀쪽나무같이 흔히 알려지지 않은 나무들도 있다. 책의 짧은 산문들은 저마다 한 그루씩 모두 79가지 나무 이름을 제목으로 내건다. 긴 산문은 식물을 우회하여 저자의 삶의 곡절을 이야기하고, 짧은 산문은 제목으로 삼은 나무와 관련된 관찰 기록을 전한다. 길고 짧은 글을 거치며 책 속에서 서서히 밝혀지는 것은 비단 식물에 대한 탐사 기록만이 아니다. 책은 이갑수가 처음 식물에 관심을 갖게 된 날부터 어머니가 돌아가신 이후의 시간까지를 두루 살피며 그가 지닌 삶과 식물에의 태도를 다층적으로 조명한다.
이갑수
이갑수(李甲洙)는 1959년 부산에서 태어나고 거창에서 자랐다. 서울대학교 식물학과를 졸업한 뒤, 여러 우회로를 거쳐 출판에 입문, 현재 궁리출판 대표로 있다. 인왕산을 오르내리다가 뒤늦게 풀과 나무를 발견했다. 꽃 앞에서 자주 몸을 구부리며 사진도 찍지만 갈 길이 멀다. 식물은 지구의 특별한 피부라고 생각하며, 자연과의 접촉면에 비례하여 자족의 크기가 결정된다고 믿는다. 지은 책으로 『신인왕제색도』 『인왕산 일기』 『꽃산행 꽃시』 『내게 꼭 맞는 꽃』 『오십의 발견』이 있다.
차례
나뭇잎 한 장에서 알 수 있는 것들
솔방울의 활연대오
매화마을의 더디고 느린 시간들
양양 매운탕집 처마 밑 제비집
입춘(立春)에서 곡우(穀雨)까지
작살나무 / 육박나무 / 벚나무 / 목련 / 오동나무 / 생강나무 / 사스레피나무 / 진달래 / 올괴불나무 / 야광나무 / 말오줌때 / 대팻집나무 / 개나리 / 복사나무 / 바위말발도리 / 수양버들 / 천선과나무
여름, 산문
완도 터미널에서 만난 수박
나의, 나의 『논어』
해변의 메뚜기를 기억함
입하(立夏)에서 대서(大暑)까지
매화말발도리 / 느티나무 / 양버즘나무 / 말채나무 / 모감주나무 / 귀룽나무 / 물참대 / 신나무 / 시로미 / 칡 / 돌가시나무 / 살구나무 / 백리향 / 나무수국 / 모새나무 / 덜꿩나무 / 산딸나무 / 영산홍 / 당단풍나무 / 장구밥나무
가을, 산문
지리산 꼭대기의 물맛
마라도 끝 창문
어머니의 보자기
입추(立秋)에서 상강(霜降)까지
물푸레나무 / 상수리나무 / 마가목 / 초피나무 / 등칡 / 전나무 / 청미래덩굴 / 담쟁이덩굴 / 참회나무 / 겨우살이 / 갈매나무 / 물박달나무 / 참나무겨우살이 / 계수나무 / 노각나무 / 멀구슬나무 / 개암나무 / 잣나무 / 사철나무
겨울, 산문
북한산에서 눈을 밟으며
곡哭, 소나무, 소나무, 소나무
무덤가의 할미꽃
입동(立冬)에서 대한(大寒)까지
아까시나무 / 수양버들 / 회화나무 / 물오리나무 / 무환자나무 / 나도밤나무 / 소사나무 / 먼나무 / 백서향 / 비목나무 / 으름덩굴 / 산개벚지나무 / 대나무 / 노간주나무 / 호두나무 / 황벽나무 / 사위질빵 / 주목 / 화살나무 / 거제수나무 / 측백나무 / 까마귀쪽나무 / 참식나무
책 끝에 ― 파주(坡州)에서
나무의 돌과 어떤 것
식물학을 전공해 책 짓는 일을 하는 이갑수의 산문집 『나무와 돌과 어떤 것』이 출간되었다. 이 책에는 사계절을 테마로 하는 13편의 긴 산문과 사계절을 이십사절기로 들여다보는 79편의 짧은 산문이 실려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계절에 걸친 기록 중에는 친숙한 이름과 낯선 이름이 공존한다. 벚나무나 목련, 개나리, 살구나무, 대나무같이 익숙한 나무들이 있는가 하면 말오줌때, 귀룽나무, 덜꿩나무, 물박달나무, 까마귀쪽나무같이 흔히 알려지지 않은 나무들도 있다. 책의 짧은 산문들은 저마다 한 그루씩 모두 79가지 나무 이름을 제목으로 내건다. 긴 산문은 식물을 우회하여 저자의 삶의 곡절을 이야기하고, 짧은 산문은 제목으로 삼은 나무와 관련된 관찰 기록을 전한다. 길고 짧은 글을 거치며 책 속에서 서서히 밝혀지는 것은 비단 식물에 대한 탐사 기록만이 아니다. 책은 이갑수가 처음 식물에 관심을 갖게 된 날부터 어머니가 돌아가신 이후의 시간까지를 두루 살피며 그가 지닌 삶과 식물에의 태도를 다층적으로 조명한다.
이갑수
이갑수(李甲洙)는 1959년 부산에서 태어나고 거창에서 자랐다. 서울대학교 식물학과를 졸업한 뒤, 여러 우회로를 거쳐 출판에 입문, 현재 궁리출판 대표로 있다. 인왕산을 오르내리다가 뒤늦게 풀과 나무를 발견했다. 꽃 앞에서 자주 몸을 구부리며 사진도 찍지만 갈 길이 멀다. 식물은 지구의 특별한 피부라고 생각하며, 자연과의 접촉면에 비례하여 자족의 크기가 결정된다고 믿는다. 지은 책으로 『신인왕제색도』 『인왕산 일기』 『꽃산행 꽃시』 『내게 꼭 맞는 꽃』 『오십의 발견』이 있다.
차례
나뭇잎 한 장에서 알 수 있는 것들
솔방울의 활연대오
매화마을의 더디고 느린 시간들
양양 매운탕집 처마 밑 제비집
입춘(立春)에서 곡우(穀雨)까지
작살나무 / 육박나무 / 벚나무 / 목련 / 오동나무 / 생강나무 / 사스레피나무 / 진달래 / 올괴불나무 / 야광나무 / 말오줌때 / 대팻집나무 / 개나리 / 복사나무 / 바위말발도리 / 수양버들 / 천선과나무
여름, 산문
완도 터미널에서 만난 수박
나의, 나의 『논어』
해변의 메뚜기를 기억함
입하(立夏)에서 대서(大暑)까지
매화말발도리 / 느티나무 / 양버즘나무 / 말채나무 / 모감주나무 / 귀룽나무 / 물참대 / 신나무 / 시로미 / 칡 / 돌가시나무 / 살구나무 / 백리향 / 나무수국 / 모새나무 / 덜꿩나무 / 산딸나무 / 영산홍 / 당단풍나무 / 장구밥나무
가을, 산문
지리산 꼭대기의 물맛
마라도 끝 창문
어머니의 보자기
입추(立秋)에서 상강(霜降)까지
물푸레나무 / 상수리나무 / 마가목 / 초피나무 / 등칡 / 전나무 / 청미래덩굴 / 담쟁이덩굴 / 참회나무 / 겨우살이 / 갈매나무 / 물박달나무 / 참나무겨우살이 / 계수나무 / 노각나무 / 멀구슬나무 / 개암나무 / 잣나무 / 사철나무
겨울, 산문
북한산에서 눈을 밟으며
곡哭, 소나무, 소나무, 소나무
무덤가의 할미꽃
입동(立冬)에서 대한(大寒)까지
아까시나무 / 수양버들 / 회화나무 / 물오리나무 / 무환자나무 / 나도밤나무 / 소사나무 / 먼나무 / 백서향 / 비목나무 / 으름덩굴 / 산개벚지나무 / 대나무 / 노간주나무 / 호두나무 / 황벽나무 / 사위질빵 / 주목 / 화살나무 / 거제수나무 / 측백나무 / 까마귀쪽나무 / 참식나무
책 끝에 ― 파주(坡州)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