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를 사랑할 수 있을까
“약함을 껴안은 채 강하게 살아간다는 것”
트라우마, PTSD 등을 연구하는 정신의학자이자 의료 인류학자 미야지 나오코가 상처를 껴안고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 학술 논문에는 실리지 못하고 흘려보내 버린 이야기를 담담하게 그려낸 따뜻한 에세이다.
발리의 사원,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어느 교외 성당, 겨울날 가나자와의 미술관, 영감과 통찰을 가져다준 책과 영화들, 환자들과의 임상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섬세하고 따뜻한 필치로 써내려간 문장은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치유와 행복을 기원하는 기도와도 같다.
“상처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것. 상처의 언저리를 가만히 어루만질 것. 몸 구석구석을 보살필 것. 딱지와 흉터를 감싸고 보듬어줄 것. 더 깊은 상처를 입지 않도록 치료하고, 호기심의 눈길로부터 가려주고, 그렇지만 부끄러워하지 않을 것. 상처와 함께 앞으로의 남은 삶을 살아갈 것.”
아무리 의료가 발달해도 상처 입은 마음을 치유하는 약은 없다. 슬픔을 껴안은 피해자의 회복을 위해 의료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상처가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약함을 껴안은 채 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찾도록 돕는 것이 아닐까.
목차
1장 - 마음속의 바다, 마음속의 하늘
아무것도 할 수 없다 해도
○(동그라미) = 인연
모레노의 성당
물속
마음속의 바다
아와모리 소주병
누군가 나를 위해 기도해준다는 것
예언ㆍ약속ㆍ꿈
2장 - 교차하는 감성
열림과 닫힘
경쟁과 행복
블루오션과 한촌의 바다
겨울의 수난과 즐거움
숙명론과 인과론2
접대와 감정노동
오른쪽인지 왼쪽인지 헷갈리는 사람들
약함을 껴안은 강함
여성다움과 남성다움
동물과 인간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버릴 것과 남길 것
소울 패밀리,영혼의 가족
인생의 궤적
3장 - 상처가 있는 풍경
상처를 사랑할 수 있을까
저자 후기
책 속으로
목격하다. 바라보다. 살펴보다. 지켜보다. 찾아보다. 찬찬히 보다. 눈여겨보다. ‘지켜줄 수’ 있을 만큼의 힘도 마음도 내가 끝내 가지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괜찮다. ⎯ 15쪽
슬픔이 하나하나 꼬리를 물고 넘쳐흐를 것만 같다. 나는 왜 이토록 슬픈 것일까. 이 슬픔은 대체 어디서 오는 것일까. 애초에, 그것들은 나의 슬픔인 것일까. 도대체 나는 무엇을 느끼고, 무엇을 찾고 있는 것일까, 이 지구 반대편에서. ⎯ 26쪽
마음이 하염없이 떨린다. 너무나도 일찍 떠나가버린 사람들. 생을 얻지 못한 사람들. 당연히 있어야만 했던 가능성. 절대 일어나지 않았어야 할 재해. 억눌러야 하는 정열. 얽히고설킨 인연. 다가올 상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넓은 세상 안에서, 열심히 살아가려는 사람들. ⎯ 27쪽
“당신은 반드시 행복해질 수 있어요” 라는 예언의 말, “당신이 행복해지는 걸 제가 지켜보고 있을게요” 라는 약속의 말이 구명 로프가 되어줄 수 있다고 믿는다. ⎯ 64쪽
아무에게도 연락하지 않고, 아무도 연락해주는 사람이 없이 휴일이 지나가면, 이 세상에 나만 혼자 뒤처져버린 것 같은 기분이 들어, 나 같은 건 세상에 없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럴 때 그 이야기를 떠올리면 ‘아, 이건 내일의 만남 전에 찾아오는 고요함 같은 거야’ 하고 생각할 수 있게 된다. ⎯ 72쪽
‘아, 그렇구나, 빈틈이 있다는 것, 이용당하기 쉽다는 것, 그게 바로 ‘취약하다 (vulnerable) ’라는 것이구나’ 라는 생각에 다다른 것이다. 그 사람 자체가 약한 것이 아니다. 단지 방어력이 부족하고, 그 결과 남의 공격을 받기 쉬운 상태가 되는 것이다. ⎯ 132쪽
약함을 껴안은 채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원하는 사람도 많다. 약함 그 자체를 존중하려는 사람, 사랑스럽다고 느끼는 사람도 많다. 그 약함 역시 인간이 가진 본성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약한 사람은 벌써 오래전에 도태해버렸을 테니까. 희망을 없앨 필요는 없다. ⎯ 134쪽
남성에게 ‘강함’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만큼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용감함’이라는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강함’, ‘씩씩함’, ‘튼튼함’ 같은 의미가 담겨 있다. 하지만 현실에는 체력이나 체격에 자신이 없거나, 결단력이나 리더십이 부족하거나, 소심하고 겁이 많은 남성이 얼마든지 있다. 남성이라고 병에 걸리지 않는 것도 아니고, 공격당하면 상처받고, 낯선 것에 공포심을 가지는 것도 당연하다.
⎯ 141쪽
되돌릴 수 없는 일, 후회해도 어쩔 도리가 없는 결과일수록 사람은 도대체 어디서 운명의 갈림길이 갈라졌는지 몇 번이고 되돌아본다. 하지만 운명의 갈림길 같은 건 아주 긴 시간이 흐르지 않으면 알 수 없다. 드라마에서도 큰 사건이 터지기 전에는 대개 복선이 등장하지만, 무엇이 복선인지는 마지막 회까지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처럼. ⎯ 182쪽
인생의 궤적을 길게 보면, 지그재그처럼 보여도 일직선인 경우도 있고, 헤매지 않고 똑바로 왔다고 생각했는데 크게 곡선을 그리고 있는 경우도 있다. 돌아가는 길이라고 생각한 것이 의외로 지름길이었을 수도 있고, 최단 거리라고 생각해 선택한 길이 막다른 길이 되는 경우도 있다. 뭐가 지름길이고 뭐가 우회길인지는 인생의 마지막까지 가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이다. ⎯ 185쪽
하늘은 넓고 길은 없다. 우여곡절. 시행착오. 뭐가 되든 상관없다. 내가 가고 싶다고 생각한 방향으로 언젠가는 인생이 수렴될 것이라고, 그렇게 믿고 싶다. ⎯ 185쪽
상처가 그곳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것. 상처의 언저리를 가만히 어루만질 것. 몸 구석구석을 보살필 것. 딱지와 흉터를 감싸고 보듬어줄 것. 더 깊은 상처를 입지 않도록 치료하고, 호기심의 눈길로부터 가려주고, 그렇지만 부끄러워하지 않을 것. 상처와 함께 앞으로의 남은 삶을 살아갈 것. ⎯ 215쪽
작가 소개
미야지 나오코
정신과 의사, 의학박사. 1986년 교토부립 의과대학 졸업 후, 1993년 동대학원을 수료하고 1989년부터 1992년까지 하버드 대학원 의학부 사회의학교실 및 법학부 인권강좌에 객원 연구원으로 유학했다. 1993년부터 긴키대학 의학부 위생학 교실에서 근무하다가 2001년부터 히토쓰바시 대학원 사회학 연구과 조교수로, 2006년부터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문 연구 분야는 문화정신의학, 의료인류학, 트라우마와 문화, 젠더와 섹슈얼리티론, 생명윤리이다. 저서로 《이문화를 살다》, 《트라우마의 의료인류학》, 《트라우마의 지정학》, 《트라우마와 젠더》, 《성적 지배와 역사》 등이 있다.
상처를 사랑할 수 있을까
“약함을 껴안은 채 강하게 살아간다는 것”
트라우마, PTSD 등을 연구하는 정신의학자이자 의료 인류학자 미야지 나오코가 상처를 껴안고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 학술 논문에는 실리지 못하고 흘려보내 버린 이야기를 담담하게 그려낸 따뜻한 에세이다.
발리의 사원,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어느 교외 성당, 겨울날 가나자와의 미술관, 영감과 통찰을 가져다준 책과 영화들, 환자들과의 임상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섬세하고 따뜻한 필치로 써내려간 문장은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치유와 행복을 기원하는 기도와도 같다.
“상처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것. 상처의 언저리를 가만히 어루만질 것. 몸 구석구석을 보살필 것. 딱지와 흉터를 감싸고 보듬어줄 것. 더 깊은 상처를 입지 않도록 치료하고, 호기심의 눈길로부터 가려주고, 그렇지만 부끄러워하지 않을 것. 상처와 함께 앞으로의 남은 삶을 살아갈 것.”
아무리 의료가 발달해도 상처 입은 마음을 치유하는 약은 없다. 슬픔을 껴안은 피해자의 회복을 위해 의료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상처가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약함을 껴안은 채 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찾도록 돕는 것이 아닐까.
목차
1장 - 마음속의 바다, 마음속의 하늘
아무것도 할 수 없다 해도
○(동그라미) = 인연
모레노의 성당
물속
마음속의 바다
아와모리 소주병
누군가 나를 위해 기도해준다는 것
예언ㆍ약속ㆍ꿈
2장 - 교차하는 감성
열림과 닫힘
경쟁과 행복
블루오션과 한촌의 바다
겨울의 수난과 즐거움
숙명론과 인과론2
접대와 감정노동
오른쪽인지 왼쪽인지 헷갈리는 사람들
약함을 껴안은 강함
여성다움과 남성다움
동물과 인간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버릴 것과 남길 것
소울 패밀리,영혼의 가족
인생의 궤적
3장 - 상처가 있는 풍경
상처를 사랑할 수 있을까
저자 후기
책 속으로
목격하다. 바라보다. 살펴보다. 지켜보다. 찾아보다. 찬찬히 보다. 눈여겨보다. ‘지켜줄 수’ 있을 만큼의 힘도 마음도 내가 끝내 가지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괜찮다. ⎯ 15쪽
슬픔이 하나하나 꼬리를 물고 넘쳐흐를 것만 같다. 나는 왜 이토록 슬픈 것일까. 이 슬픔은 대체 어디서 오는 것일까. 애초에, 그것들은 나의 슬픔인 것일까. 도대체 나는 무엇을 느끼고, 무엇을 찾고 있는 것일까, 이 지구 반대편에서. ⎯ 26쪽
마음이 하염없이 떨린다. 너무나도 일찍 떠나가버린 사람들. 생을 얻지 못한 사람들. 당연히 있어야만 했던 가능성. 절대 일어나지 않았어야 할 재해. 억눌러야 하는 정열. 얽히고설킨 인연. 다가올 상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넓은 세상 안에서, 열심히 살아가려는 사람들. ⎯ 27쪽
“당신은 반드시 행복해질 수 있어요” 라는 예언의 말, “당신이 행복해지는 걸 제가 지켜보고 있을게요” 라는 약속의 말이 구명 로프가 되어줄 수 있다고 믿는다. ⎯ 64쪽
아무에게도 연락하지 않고, 아무도 연락해주는 사람이 없이 휴일이 지나가면, 이 세상에 나만 혼자 뒤처져버린 것 같은 기분이 들어, 나 같은 건 세상에 없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럴 때 그 이야기를 떠올리면 ‘아, 이건 내일의 만남 전에 찾아오는 고요함 같은 거야’ 하고 생각할 수 있게 된다. ⎯ 72쪽
‘아, 그렇구나, 빈틈이 있다는 것, 이용당하기 쉽다는 것, 그게 바로 ‘취약하다 (vulnerable) ’라는 것이구나’ 라는 생각에 다다른 것이다. 그 사람 자체가 약한 것이 아니다. 단지 방어력이 부족하고, 그 결과 남의 공격을 받기 쉬운 상태가 되는 것이다. ⎯ 132쪽
약함을 껴안은 채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원하는 사람도 많다. 약함 그 자체를 존중하려는 사람, 사랑스럽다고 느끼는 사람도 많다. 그 약함 역시 인간이 가진 본성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약한 사람은 벌써 오래전에 도태해버렸을 테니까. 희망을 없앨 필요는 없다. ⎯ 134쪽
남성에게 ‘강함’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만큼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용감함’이라는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강함’, ‘씩씩함’, ‘튼튼함’ 같은 의미가 담겨 있다. 하지만 현실에는 체력이나 체격에 자신이 없거나, 결단력이나 리더십이 부족하거나, 소심하고 겁이 많은 남성이 얼마든지 있다. 남성이라고 병에 걸리지 않는 것도 아니고, 공격당하면 상처받고, 낯선 것에 공포심을 가지는 것도 당연하다.
⎯ 141쪽
되돌릴 수 없는 일, 후회해도 어쩔 도리가 없는 결과일수록 사람은 도대체 어디서 운명의 갈림길이 갈라졌는지 몇 번이고 되돌아본다. 하지만 운명의 갈림길 같은 건 아주 긴 시간이 흐르지 않으면 알 수 없다. 드라마에서도 큰 사건이 터지기 전에는 대개 복선이 등장하지만, 무엇이 복선인지는 마지막 회까지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처럼. ⎯ 182쪽
인생의 궤적을 길게 보면, 지그재그처럼 보여도 일직선인 경우도 있고, 헤매지 않고 똑바로 왔다고 생각했는데 크게 곡선을 그리고 있는 경우도 있다. 돌아가는 길이라고 생각한 것이 의외로 지름길이었을 수도 있고, 최단 거리라고 생각해 선택한 길이 막다른 길이 되는 경우도 있다. 뭐가 지름길이고 뭐가 우회길인지는 인생의 마지막까지 가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이다. ⎯ 185쪽
하늘은 넓고 길은 없다. 우여곡절. 시행착오. 뭐가 되든 상관없다. 내가 가고 싶다고 생각한 방향으로 언젠가는 인생이 수렴될 것이라고, 그렇게 믿고 싶다. ⎯ 185쪽
상처가 그곳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것. 상처의 언저리를 가만히 어루만질 것. 몸 구석구석을 보살필 것. 딱지와 흉터를 감싸고 보듬어줄 것. 더 깊은 상처를 입지 않도록 치료하고, 호기심의 눈길로부터 가려주고, 그렇지만 부끄러워하지 않을 것. 상처와 함께 앞으로의 남은 삶을 살아갈 것. ⎯ 215쪽
작가 소개
미야지 나오코
정신과 의사, 의학박사. 1986년 교토부립 의과대학 졸업 후, 1993년 동대학원을 수료하고 1989년부터 1992년까지 하버드 대학원 의학부 사회의학교실 및 법학부 인권강좌에 객원 연구원으로 유학했다. 1993년부터 긴키대학 의학부 위생학 교실에서 근무하다가 2001년부터 히토쓰바시 대학원 사회학 연구과 조교수로, 2006년부터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문 연구 분야는 문화정신의학, 의료인류학, 트라우마와 문화, 젠더와 섹슈얼리티론, 생명윤리이다. 저서로 《이문화를 살다》, 《트라우마의 의료인류학》, 《트라우마의 지정학》, 《트라우마와 젠더》, 《성적 지배와 역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