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의 귀신: 제주의 영원한 수호자들
영국인 톰 보렐리가 쓰고 그린 제주의 귀신과 신들. K-역사와 전통신앙에 푹 빠진 영국인의 시선으로 본 제주의 귀신과 신화 이야기. 흔히 제주는 바위, 바람, 여자가 풍요롭다고 하여 ‘삼다三多섬’이라 불린다. 그러나 제주의 진정한 매력은 눈에 보이는 풍요보다 보이지 않는 정신적인 면에 있다. 제주는 ‘삼재三災’의 섬이기도 하다. 벼농사를 지을 수 없는 열악한 토양, 거센 바람이 불어 재앙이 불어닥치는 일도 부지기수. 외세의 침략을 받았어도 한반도 본토의 일만큼 주목받지 못하였고, 때로는 같은 한국의 뭍 사람들로부터 경제적 착취와 문화적 억압을 당했다. 이러한 환경 속에 피어난 제주 신화는 한국의 신화와 또 달랐다. 그동안 한국의 신화는 유교 문화권을 거치며 왕과 집권층 위주의 이야기, 나라의 건국 신화 같은 종류의 이야기들이 주로 전승되어왔다. 그에 비해 제주의 신화는 인간적인 면모가 도드라진다. 제주에는 250여 개의 신당, 400여 명의 무당, 500여 편의 무가, 1만 8천여 명의 신들이 전해진다. 제주의 신들에게는 애환이 담겨 있다. 특히 한국의 귀신들이 다른 동아시아권 귀신들과 다른 점은 선과 악이 구별되지 않다는 점인데, 제주의 귀신들도 그런 점에서 더 매력적이다.
북쪽 해안에서 어부들을 지키는 바다의 신 '영등할망'
사람을 잡아먹는 외눈박이 거인 '외눈배기'
거대한 화산 바위 형상을 한 귀신 '홀어멍돌'제주에서 난잡하기로 유명한 귀신 '오소리잡놈'
그동안 제주도를 여러 번 여행했지만, 제주의 신당을 찾아볼 생각은 해본 적이 없었다. 저자 톰 보렐리는 제주에 지내며,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릴 뿐만 아니라 제주의 신당을 사진으로 찍어 기록하고 있다. 제주 신당들은 모르고 가면 그냥 지나칠 만한 초라한 풍경이 대다수였다. 오랫동안 관심을 받지 못해서 오히려 더욱 생생하게 남아있는 제주신들의 이야기를 ‘외지인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여기서 외지인이란 영국인 작가 자신이기도 하지만, 아직 제주의 많은 면면을 알지 못하는 한국인들을 뜻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인과 외국인,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이 읽을 수 있도록 한국어와 영어를 병기하였다.
작가 소개
톰 보렐리 Tom Borrelli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역사를 공부한 후, 한국에 와서 8년 넘게 살고 있다. 7년간 영어와 역사를 가르치고, 1년 동안 서울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한국의 역사와 전통에 매료되었다. 지난 4년간 제주도에 살면서 150여 곳이 넘는 신당을 방문했다. 제주의 모든 신당과 신들을 찾아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탐라의 귀신: 제주의 영원한 수호자들
영국인 톰 보렐리가 쓰고 그린 제주의 귀신과 신들. K-역사와 전통신앙에 푹 빠진 영국인의 시선으로 본 제주의 귀신과 신화 이야기. 흔히 제주는 바위, 바람, 여자가 풍요롭다고 하여 ‘삼다三多섬’이라 불린다. 그러나 제주의 진정한 매력은 눈에 보이는 풍요보다 보이지 않는 정신적인 면에 있다. 제주는 ‘삼재三災’의 섬이기도 하다. 벼농사를 지을 수 없는 열악한 토양, 거센 바람이 불어 재앙이 불어닥치는 일도 부지기수. 외세의 침략을 받았어도 한반도 본토의 일만큼 주목받지 못하였고, 때로는 같은 한국의 뭍 사람들로부터 경제적 착취와 문화적 억압을 당했다. 이러한 환경 속에 피어난 제주 신화는 한국의 신화와 또 달랐다. 그동안 한국의 신화는 유교 문화권을 거치며 왕과 집권층 위주의 이야기, 나라의 건국 신화 같은 종류의 이야기들이 주로 전승되어왔다. 그에 비해 제주의 신화는 인간적인 면모가 도드라진다. 제주에는 250여 개의 신당, 400여 명의 무당, 500여 편의 무가, 1만 8천여 명의 신들이 전해진다. 제주의 신들에게는 애환이 담겨 있다. 특히 한국의 귀신들이 다른 동아시아권 귀신들과 다른 점은 선과 악이 구별되지 않다는 점인데, 제주의 귀신들도 그런 점에서 더 매력적이다.
북쪽 해안에서 어부들을 지키는 바다의 신 '영등할망'
사람을 잡아먹는 외눈박이 거인 '외눈배기'
거대한 화산 바위 형상을 한 귀신 '홀어멍돌'제주에서 난잡하기로 유명한 귀신 '오소리잡놈'
그동안 제주도를 여러 번 여행했지만, 제주의 신당을 찾아볼 생각은 해본 적이 없었다. 저자 톰 보렐리는 제주에 지내며,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릴 뿐만 아니라 제주의 신당을 사진으로 찍어 기록하고 있다. 제주 신당들은 모르고 가면 그냥 지나칠 만한 초라한 풍경이 대다수였다. 오랫동안 관심을 받지 못해서 오히려 더욱 생생하게 남아있는 제주신들의 이야기를 ‘외지인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여기서 외지인이란 영국인 작가 자신이기도 하지만, 아직 제주의 많은 면면을 알지 못하는 한국인들을 뜻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인과 외국인,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이 읽을 수 있도록 한국어와 영어를 병기하였다.
작가 소개
톰 보렐리 Tom Borrelli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역사를 공부한 후, 한국에 와서 8년 넘게 살고 있다. 7년간 영어와 역사를 가르치고, 1년 동안 서울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한국의 역사와 전통에 매료되었다. 지난 4년간 제주도에 살면서 150여 곳이 넘는 신당을 방문했다. 제주의 모든 신당과 신들을 찾아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