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신화
유럽에서 인간과 나무는 오랜 세월 동안 어떤 관계를 맺어 왔는가.
식물학을 바탕으로 유럽 나무의 문화사를, 나무를 통해 유럽 민속의 기원과 양상을 꿰어 낸 고전!
『나무 신화』는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 숲과 나무의 자연사와 문화사, 유럽에서 친숙한 35가지 나무들에 깃든 신화와 전설, 민속, 언어 등을 다룬 책이다. 독일의 여성 생태 활동가였던 도리스 라우데르트의 저작으로, 1999년에 처음 출간된 이래 지금까지 판을 바꾸며 널리 보급된 이 분야의 고전이다.
식물학을 전공하고 가르친 저자는 기존의 식물학에서 소외된 나무의 문화적 의미와 그 가치를 살핀다. 고대 중근동과 그리스 로마 신화뿐만 아니라 북유럽 신화, 언어와 민속, 민간의 속담과 민담 중 나무와 관련된 이야기를 통해 옛 유럽 사람들이 파악한 나무의 특성과 문화적 맥락을 소개한다. 룬 문자, 프레야 여신 숭배, 마녀와 요술 지팡이, 나무와 숲의 부산물로 먹고, 집 짓고, 불 때고 살아 온 유럽 민간 문화의 저류가 드러난다. 이를 따라가다 보면 유럽 문화를 기독교와 모더니즘이 장악하기 이전, 평범한 사람들이 나무와 숲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는 물론, 그를 통해 생활 문화와 믿음 체계의 진면목을 발견하게 된다. 생소하기도 한 문화 맥락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어 독자들을 위해 900개가 넘는 각주와 지도를 덧붙였다. 다양한 역사적 도판, 미술품과 아름다운 사진들이 식물의 문화사에 대한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보는 즐거움을 더한다.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와 일반인들에게 폭넓은 지식과 관점을 선사한다.
목차
00 나무의 삶처럼 길었던 번역 여정을 돌아보며 | 이선 [006]
00'1 숲의 문화사 [Kulturgeschichte des Waldes] [020]
00'2 신화 속의 나무 [Der Baum im Mythos] [082]
02 개암나무 [Der Haselstrauch ; Corylus avellana] [144]
03 너도밤나무 [Der Wacholder ; Fagus sylvatica] [156]
04 노간주나무 [Die Ulme ; Juniperus communis] [182]
05 느릅나무 [Die Ulme ; Ulmus sp.] [202]
06 단풍나무 [Der Ahorn ; Acer sp.] [218]
07 딱총나무 [Der Holunder ; Sambucus sp.] [230]
08 독일가문비 [Die Fichte ; Picea abies] [242]
09 들장미 [Die Heckenrose ; Rosa canina] [260]
10 마가목 [Die Eberesche ; Sorbus aucuparia] [280]
11 무화과나무 [Die Feige ; Ficus carica] [296]
12 물푸레나무 [Die Esche ; Fraxinus excelsior] [318]
13 밤나무 [Die Edelkastanie ; Castanea sativa] [332]
14 배나무 [Der Birnbaum ; Pyrus pyraster] [346]
15 버드나무 [Die Weide ; Salix sp.] [362]
16 벚나무 [Der Kirschbaum ; Prunus avium] [384]
17 사과나무 [Der Apfelbaum ; Malus sylvestris] [398]
18 산사나무 [Der Weissdorn ; Crataegus sp.] [420]
19 서어나무 [Die Hainbuche ; Carpinus betulus] [432]
20 소나무 [Die Kiefer ; Pinus sylvestris ] [442]
21 송악 [Der Efeu ; Hedera helix] [462]
22 오리나무 [Die Erle ; Alnus sp.] [472]
23 올리브나무 [Der ?lbaum ; Olea europaea] [484]
24 월계수 [Der Lorbeer ; Laurus nobilis] [508]
25 은행나무 [Der Ginkgo ; Ginkgo biloba] [518]
26 잎갈나무 [Die L?rche ; Larix decidua] [532]
27 자작나무 [Die Birke ; Betula pendula] [542]
28 전나무 [Die Tanne ; Abies alba] [562]
29 주목 [Die Eibe ; Taxus baccata] [574]
30 참나무 [Die Eiche ; Quercus sp.] [594]
31 포플러 [Die Pappel ; Populus sp.] [624]
32 플라타너스 [Die Platane ; Platanus sp.] [642]
33 피나무 [Die Linde ; Tilia sp.] [652]
34 호두나무 [Der Walnussbaum ; Juglans regia] [672]
35 호랑가시나무 [Die Stechpalme ; Ilex aquifolium] [684]
추천 도서 [698]
역사적 인용문의 출처 [700]
찾아보기(인명) [703]
책 속으로
숲이 성글어질 때마다 농부들이 목재를 남용하고 마구 써서 그렇다며 비난받았다. 그러나 낭비의 정의는 무엇보다 사회적 맥락에서 형성되며, 그 기준 또한 대단히 애매하다. 시골에서는 마차 3대 정도의 땔감으로 겨울을 버텼지만, 도시의 가정은 8대분을 배당받아 훈훈하게 났다. 목재를 아끼지 않기로는 귀족의 저택이며 성도 있었으니 한 번 지을 때마다 수천 그루 최고급 목재를 집어삼켰다. 그러나 농부들은 제 집을 수리할 목재도 힘겹게 구했다. 오스트리아의 황제 요제프 2세(Joseph II) 재위기인 1784년에 영악한 장관 하나는 절약을 내세워 기이한 발상을 제안했는데, 바로 ‘재활용 관(Sparsarg)’이다. 무덤에서 하관할 때 관 바닥이 열리며 시신이 구덩이 속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나면 관만 끄집어올려 다음 장례에 또 쓰는 것이었다. [074쪽]
숲속 정령들은 오늘날 우리에게 전기톱의 굉음이라고는 들리지도 않던 어떤 시대를 떠올리게 한다. 이들은 기독교로 겨우 개종한 ‘미개인’의 마음을 끊임없이 사로잡았기에, 교회에서는 이들에 대한 변신을 다시금 감행해야 했고, 그렇게 해서 숲속 정령들은 ‘가련한 망령(armen Seelen)’으로 전락했다. 교회 장로들은 “숲에 귀가 있다
(Aures sunt nemoris)”며 엄포를 놓았다. 이 때 그들이 말하는 숲이란, 평범한 숲이 아니라 신성한 숲 ‘네무스(nemus)’였다. 숲속에 생기를 불어 넣던 정령들이 우리 세계에서 (공식적으로) 사라져 버린 것은 기독교 교회의 극성맞은 선교 탓일까? 그럴 리가 없다. 왜냐하면, 암흑의 존재들을 물리침으로써 그들의 존재는 떳떳이 인정받아 왔기 때문이다. 즉, 오로지 증명할 수 있는 사실만 받아들이려고 하는 오늘날 우리의 과도한 합리주의 사고 방식이 더 큰 원인일 것이다. [088쪽]
게르만족 선조가 거행하던 ‘봄의 제전’은 원래 5월 1일 저녁부터 시작했으며, 이 때 대지의 어머니가 하늘과 결혼해 풍요를 낳기를 봉축했다. 이것이 ‘히에로스 가모스(hieros gamos, 성스러운 결혼식)’로 사제 한 쌍이 대
행하던 의식이었으나, 기독교 시대에 들어가면서 야만스럽고 광란하는 ‘발푸르기스의 밤(Walpurgisnacht)’으로 변질되었다. 이 결합이 내려 줄 축복의 힘, 즉 새로 소생하는 생명력을 확신하던 민중은 마을과 들에서 벌어지는 축제에 꼭 참여했다. 이렇듯 게르만족이 하루의 시작을 그 전날 밤부터로 간주했다는 사실은 [타키투스가 『게르마니아』에서 이해하지 못한 채 기록했듯] 오늘날에도 성대한 축제를 할 때면 흔히 전야제를 여는 까닭을 해명해 준다. [112쪽]
게르만족은 계절의 변화를 빛과 어둠의 투쟁이라 보고, 동지는 새로운 생명을 깨우려고 태양이 겨울의 어두운 힘과 투쟁하는 시기로 여겼다. 이것이 12일이 걸리므로 이른바 ‘십이야(Zw?lften)’, 또는 라우네흐테(Rauhn?chte)라고 하는데, 낮의 길이가 알아차릴 만큼 길어져서 투쟁에서 태양의 승리가 명백해질 때까지를 이른다. | “날은 점점 밝아지네 / 성탄까지는 수탉의 걸음만큼 / 새해까지는 사슴이 뛰는 만큼, 성촉절(2월 2일)까지는 한 시간만큼.” | 신들에게 바쳐진 ‘십이야’ 기간에는 고된 노동이나 사냥을 금했고, 어느 법정에서나 화해가 이루어졌다. 사람들은 신에 대한 경배의 표시로 불을 지피고 제물을 바쳤다. 그러는 사이에 신들은 천상의 거처인 발할라(Valhalla)를 나와서 세상을 돌아다니며 인간과 대지에 두루 가호를 내린다는 것이 게르만족의 믿음이었다. 이 행렬의 맨 앞에는 보탄[Wotan, 게르만족 최고의 신인 오딘(Odin)]이 그의 아내 프레야(Freya, 대지의 여신)와 나란히 섰다. [116쪽]
13세기에 독일의 궁정 시인 하르트만 폰 데어 아우에(Hartmann von der Aue)는 “교양 있는 기사(騎士)가 있었으니 책(Bouchen)에 쓰인 것을 읽을 줄 알고, 곧 쓸 줄 알았다.”고 썼다. 독일어에서 ‘부헤(Buche, 너도밤나무)’와 ‘부흐(Buch, 책)’ 사이의 유사성은 어디에서 유래했을까? 어떤 이들은 구텐베르크(Johannes Gutenberg, 1398?~1468년)가 애초에 너도밤나무 목재로 활자를 만들어 인쇄한 데서부터라고 추정한다. 그러나 실은 철자(綴字, Buchstaben)를 뜻하는 옛 고지 독일어 낱말 ‘부오슈타프(buohstap)’와 관련이 있다. 게르만의 ‘룬(Rune) 문자’가 너도밤나무 막대기(Buchen-St?be)에 새겨졌기 때문이다. [164쪽]
어머니신이 홀레 아주머니가 되었다는 소문은 금세 퍼져 나갔고, 기독교가 세력을 확장하면서 나무에 대한 숭배는 처벌받는다는 위협과 함께 금기시되었다. 원래 모신이었건만 이제는 수확을 망치고 십이야(十二夜) 기간 동안 밤마다 못된 짓을 일삼는 행패꾼이라는 비난을 견뎌야 했다. “홀레 아주머니는 처음에는 훌륭한 여자였지만, 나중에는 거친 껍질만 남은 속 빈 나무와 같다.”고 헤센주(Hessen)의 마녀 기록에 적혔듯이 말이다. 그러나 딱총나무의 영험은 끄떡이 없었다. 오히려 병을 가져가는 나무로 여겨졌다. [239쪽]
작가 소개
도리스 라우데르트
Doris LAUDERT, 1942~2012년
독일의 여성 식물학자로, 생물학을 전공하고 생물 교사로 재직했다. 평생 식물을 주제로 수많은 기고와 강의를 펼치고 식물학 답사를 주관했다. 삼림 관련 공공 기관, 관광청, 시민 사회 단체 등에서 자연 생태 보호와 식물의 의미를 알리는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남긴 저서 『나무 신화(Mythos Baum)』는 2004년 초판 이래 여러 차례 개정되며 이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독일어 문헌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나무 신화
유럽에서 인간과 나무는 오랜 세월 동안 어떤 관계를 맺어 왔는가.
식물학을 바탕으로 유럽 나무의 문화사를, 나무를 통해 유럽 민속의 기원과 양상을 꿰어 낸 고전!
『나무 신화』는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 숲과 나무의 자연사와 문화사, 유럽에서 친숙한 35가지 나무들에 깃든 신화와 전설, 민속, 언어 등을 다룬 책이다. 독일의 여성 생태 활동가였던 도리스 라우데르트의 저작으로, 1999년에 처음 출간된 이래 지금까지 판을 바꾸며 널리 보급된 이 분야의 고전이다.
식물학을 전공하고 가르친 저자는 기존의 식물학에서 소외된 나무의 문화적 의미와 그 가치를 살핀다. 고대 중근동과 그리스 로마 신화뿐만 아니라 북유럽 신화, 언어와 민속, 민간의 속담과 민담 중 나무와 관련된 이야기를 통해 옛 유럽 사람들이 파악한 나무의 특성과 문화적 맥락을 소개한다. 룬 문자, 프레야 여신 숭배, 마녀와 요술 지팡이, 나무와 숲의 부산물로 먹고, 집 짓고, 불 때고 살아 온 유럽 민간 문화의 저류가 드러난다. 이를 따라가다 보면 유럽 문화를 기독교와 모더니즘이 장악하기 이전, 평범한 사람들이 나무와 숲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는 물론, 그를 통해 생활 문화와 믿음 체계의 진면목을 발견하게 된다. 생소하기도 한 문화 맥락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어 독자들을 위해 900개가 넘는 각주와 지도를 덧붙였다. 다양한 역사적 도판, 미술품과 아름다운 사진들이 식물의 문화사에 대한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보는 즐거움을 더한다.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와 일반인들에게 폭넓은 지식과 관점을 선사한다.
목차
00 나무의 삶처럼 길었던 번역 여정을 돌아보며 | 이선 [006]
00'1 숲의 문화사 [Kulturgeschichte des Waldes] [020]
00'2 신화 속의 나무 [Der Baum im Mythos] [082]
02 개암나무 [Der Haselstrauch ; Corylus avellana] [144]
03 너도밤나무 [Der Wacholder ; Fagus sylvatica] [156]
04 노간주나무 [Die Ulme ; Juniperus communis] [182]
05 느릅나무 [Die Ulme ; Ulmus sp.] [202]
06 단풍나무 [Der Ahorn ; Acer sp.] [218]
07 딱총나무 [Der Holunder ; Sambucus sp.] [230]
08 독일가문비 [Die Fichte ; Picea abies] [242]
09 들장미 [Die Heckenrose ; Rosa canina] [260]
10 마가목 [Die Eberesche ; Sorbus aucuparia] [280]
11 무화과나무 [Die Feige ; Ficus carica] [296]
12 물푸레나무 [Die Esche ; Fraxinus excelsior] [318]
13 밤나무 [Die Edelkastanie ; Castanea sativa] [332]
14 배나무 [Der Birnbaum ; Pyrus pyraster] [346]
15 버드나무 [Die Weide ; Salix sp.] [362]
16 벚나무 [Der Kirschbaum ; Prunus avium] [384]
17 사과나무 [Der Apfelbaum ; Malus sylvestris] [398]
18 산사나무 [Der Weissdorn ; Crataegus sp.] [420]
19 서어나무 [Die Hainbuche ; Carpinus betulus] [432]
20 소나무 [Die Kiefer ; Pinus sylvestris ] [442]
21 송악 [Der Efeu ; Hedera helix] [462]
22 오리나무 [Die Erle ; Alnus sp.] [472]
23 올리브나무 [Der ?lbaum ; Olea europaea] [484]
24 월계수 [Der Lorbeer ; Laurus nobilis] [508]
25 은행나무 [Der Ginkgo ; Ginkgo biloba] [518]
26 잎갈나무 [Die L?rche ; Larix decidua] [532]
27 자작나무 [Die Birke ; Betula pendula] [542]
28 전나무 [Die Tanne ; Abies alba] [562]
29 주목 [Die Eibe ; Taxus baccata] [574]
30 참나무 [Die Eiche ; Quercus sp.] [594]
31 포플러 [Die Pappel ; Populus sp.] [624]
32 플라타너스 [Die Platane ; Platanus sp.] [642]
33 피나무 [Die Linde ; Tilia sp.] [652]
34 호두나무 [Der Walnussbaum ; Juglans regia] [672]
35 호랑가시나무 [Die Stechpalme ; Ilex aquifolium] [684]
추천 도서 [698]
역사적 인용문의 출처 [700]
찾아보기(인명) [703]
책 속으로
숲이 성글어질 때마다 농부들이 목재를 남용하고 마구 써서 그렇다며 비난받았다. 그러나 낭비의 정의는 무엇보다 사회적 맥락에서 형성되며, 그 기준 또한 대단히 애매하다. 시골에서는 마차 3대 정도의 땔감으로 겨울을 버텼지만, 도시의 가정은 8대분을 배당받아 훈훈하게 났다. 목재를 아끼지 않기로는 귀족의 저택이며 성도 있었으니 한 번 지을 때마다 수천 그루 최고급 목재를 집어삼켰다. 그러나 농부들은 제 집을 수리할 목재도 힘겹게 구했다. 오스트리아의 황제 요제프 2세(Joseph II) 재위기인 1784년에 영악한 장관 하나는 절약을 내세워 기이한 발상을 제안했는데, 바로 ‘재활용 관(Sparsarg)’이다. 무덤에서 하관할 때 관 바닥이 열리며 시신이 구덩이 속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나면 관만 끄집어올려 다음 장례에 또 쓰는 것이었다. [074쪽]
숲속 정령들은 오늘날 우리에게 전기톱의 굉음이라고는 들리지도 않던 어떤 시대를 떠올리게 한다. 이들은 기독교로 겨우 개종한 ‘미개인’의 마음을 끊임없이 사로잡았기에, 교회에서는 이들에 대한 변신을 다시금 감행해야 했고, 그렇게 해서 숲속 정령들은 ‘가련한 망령(armen Seelen)’으로 전락했다. 교회 장로들은 “숲에 귀가 있다
(Aures sunt nemoris)”며 엄포를 놓았다. 이 때 그들이 말하는 숲이란, 평범한 숲이 아니라 신성한 숲 ‘네무스(nemus)’였다. 숲속에 생기를 불어 넣던 정령들이 우리 세계에서 (공식적으로) 사라져 버린 것은 기독교 교회의 극성맞은 선교 탓일까? 그럴 리가 없다. 왜냐하면, 암흑의 존재들을 물리침으로써 그들의 존재는 떳떳이 인정받아 왔기 때문이다. 즉, 오로지 증명할 수 있는 사실만 받아들이려고 하는 오늘날 우리의 과도한 합리주의 사고 방식이 더 큰 원인일 것이다. [088쪽]
게르만족 선조가 거행하던 ‘봄의 제전’은 원래 5월 1일 저녁부터 시작했으며, 이 때 대지의 어머니가 하늘과 결혼해 풍요를 낳기를 봉축했다. 이것이 ‘히에로스 가모스(hieros gamos, 성스러운 결혼식)’로 사제 한 쌍이 대
행하던 의식이었으나, 기독교 시대에 들어가면서 야만스럽고 광란하는 ‘발푸르기스의 밤(Walpurgisnacht)’으로 변질되었다. 이 결합이 내려 줄 축복의 힘, 즉 새로 소생하는 생명력을 확신하던 민중은 마을과 들에서 벌어지는 축제에 꼭 참여했다. 이렇듯 게르만족이 하루의 시작을 그 전날 밤부터로 간주했다는 사실은 [타키투스가 『게르마니아』에서 이해하지 못한 채 기록했듯] 오늘날에도 성대한 축제를 할 때면 흔히 전야제를 여는 까닭을 해명해 준다. [112쪽]
게르만족은 계절의 변화를 빛과 어둠의 투쟁이라 보고, 동지는 새로운 생명을 깨우려고 태양이 겨울의 어두운 힘과 투쟁하는 시기로 여겼다. 이것이 12일이 걸리므로 이른바 ‘십이야(Zw?lften)’, 또는 라우네흐테(Rauhn?chte)라고 하는데, 낮의 길이가 알아차릴 만큼 길어져서 투쟁에서 태양의 승리가 명백해질 때까지를 이른다. | “날은 점점 밝아지네 / 성탄까지는 수탉의 걸음만큼 / 새해까지는 사슴이 뛰는 만큼, 성촉절(2월 2일)까지는 한 시간만큼.” | 신들에게 바쳐진 ‘십이야’ 기간에는 고된 노동이나 사냥을 금했고, 어느 법정에서나 화해가 이루어졌다. 사람들은 신에 대한 경배의 표시로 불을 지피고 제물을 바쳤다. 그러는 사이에 신들은 천상의 거처인 발할라(Valhalla)를 나와서 세상을 돌아다니며 인간과 대지에 두루 가호를 내린다는 것이 게르만족의 믿음이었다. 이 행렬의 맨 앞에는 보탄[Wotan, 게르만족 최고의 신인 오딘(Odin)]이 그의 아내 프레야(Freya, 대지의 여신)와 나란히 섰다. [116쪽]
13세기에 독일의 궁정 시인 하르트만 폰 데어 아우에(Hartmann von der Aue)는 “교양 있는 기사(騎士)가 있었으니 책(Bouchen)에 쓰인 것을 읽을 줄 알고, 곧 쓸 줄 알았다.”고 썼다. 독일어에서 ‘부헤(Buche, 너도밤나무)’와 ‘부흐(Buch, 책)’ 사이의 유사성은 어디에서 유래했을까? 어떤 이들은 구텐베르크(Johannes Gutenberg, 1398?~1468년)가 애초에 너도밤나무 목재로 활자를 만들어 인쇄한 데서부터라고 추정한다. 그러나 실은 철자(綴字, Buchstaben)를 뜻하는 옛 고지 독일어 낱말 ‘부오슈타프(buohstap)’와 관련이 있다. 게르만의 ‘룬(Rune) 문자’가 너도밤나무 막대기(Buchen-St?be)에 새겨졌기 때문이다. [164쪽]
어머니신이 홀레 아주머니가 되었다는 소문은 금세 퍼져 나갔고, 기독교가 세력을 확장하면서 나무에 대한 숭배는 처벌받는다는 위협과 함께 금기시되었다. 원래 모신이었건만 이제는 수확을 망치고 십이야(十二夜) 기간 동안 밤마다 못된 짓을 일삼는 행패꾼이라는 비난을 견뎌야 했다. “홀레 아주머니는 처음에는 훌륭한 여자였지만, 나중에는 거친 껍질만 남은 속 빈 나무와 같다.”고 헤센주(Hessen)의 마녀 기록에 적혔듯이 말이다. 그러나 딱총나무의 영험은 끄떡이 없었다. 오히려 병을 가져가는 나무로 여겨졌다. [239쪽]
작가 소개
도리스 라우데르트
Doris LAUDERT, 1942~2012년
독일의 여성 식물학자로, 생물학을 전공하고 생물 교사로 재직했다. 평생 식물을 주제로 수많은 기고와 강의를 펼치고 식물학 답사를 주관했다. 삼림 관련 공공 기관, 관광청, 시민 사회 단체 등에서 자연 생태 보호와 식물의 의미를 알리는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남긴 저서 『나무 신화(Mythos Baum)』는 2004년 초판 이래 여러 차례 개정되며 이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독일어 문헌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