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기본 2
“기본이란 곧, 기분 좋은 것들의 컬렉션”
생활 속 기본의 미학을 추구하는
모든 라이프마인더들을 위한 책! 그 두 번째 이야기.
조금 더 나다운 것
조금 더 기분 좋은 것
조금 더 단정한 것
조금 더 상냥한 것을 찾아서.
가장 가까운 발밑의 일상을 사뿐히 걸어가는 1년 간의 생활 아카이브,
나에게 조금 더 기분 좋은 것들을 찾는 라이프마인드 에세이 시리즈 <오늘의 기본>.
‘라이프스타일(lifestyle)’이 아닌 ‘라이프마인드(lifemind)’가 필요한 시대, 변하지 않는 나다운 기본을 찾아가고 싶은 이들을 위한 지침서가 되어 줄 <오늘의 기본>은 1년 간 매주 하나씩, 기분 좋은 생활을 만드는 일상의 기록을 엮은 에세이 시리즈이다. 물건을 고르는 방법부터 단순한 식탁의 풍경까지 의, 식, 주, 물건, 즐거움과 마음가짐 총 6가지 생활의 영역을 다룬 1권에 이어 2권은 더욱 깊은 성찰과 시선이 녹아든 5가지 카테고리(온화함, 보살핌, 단정함, 충실함, 나다움)의 기본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 수집한 기분 좋은 생활을 만드는 일상 속 사물과 마음가짐 50가지와 더불어 본문 곳곳에 숨어 있는 따뜻한 추신과 계절의 이야기, 늦가을 교토에서 찾아 온 기분 좋은 삶의 힌트까지 한 권에 만나볼 수 있다.
“기본이란 그런 것입니다. 매일 기분에 따라 가볍게 고르고, 단순하게 갖춰야 하는 것입니다. 매일 양말을 고르듯 삶의 철학을 고릅니다. 나의 가장 발밑을 살피듯 나와 가장 가까운 일상을 가꿉니다. 하루하루를 가뿐하고 깨끗한 걸음으로 새롭게 마주해 나가는 요령입니다.” -들어가며 중에서
목차
1. 온화함의 기본: 사람들과 마주할 때 건네는 상냥한 사랑
이름을 불러준다는 것의 의미.
다정함은 손끝에서부터.
시원스러운 상냥함이란.
마음이 좋은 대화를 하는 법.
어떤 목소리를 듣고 있나요?
감사합니다라는 말버릇.
이름을 묻지 않는 모임.
질문은 수프를 뜨는 것처럼.
아이디어를 선물합니다.
편지지에 풍경을 담습니다.
2. 보살핌의 기본: 몸과 마음을 보듬는 성실한 손길
손을 관리하고 있나요?
잘하고 있다는 말.
입술을 촉촉하게 합니다.
스트레스는 식빵 같은 것.
내 몸에 딱 맞는 차를 마십니다.
좋은 머릿결을 위한 도구들.
가장 편안한 속도를 찾습니다.
생각이 많을 땐 배꼽을 앞으로.
영혼의 시간을 갖습니다.
먼저 찻잔부터 데웁니다.
3. 단정함의 기본: 일상을 산뜻하고 가볍게 가꾸는 요령
기다리는 자세의 미학.
딱 좋은 무게의 물건들.
단순한 욕실의 풍경.
물건을 다루는 다정한 손길.
기분 좋은 것들의 배신.
그릇에 여백을 둡니다.
편지를 쓰기 전에 손을 씻습니다.
때로는 아날로그 시계를.
물건을 상냥하게 대합니다.
짐싸기 파티 프로젝트.
4. 충실함의 기본: 생활을 풍요롭게 만드는 감각과 풍경
올해는 일간 다이어리를 써 봅니다.
여운을 음미하는 방법.
여름을 마중하는 물건들.
조금 더 기분 좋은 식사.
또박또박 만든 음식이란.
오늘은 현금 쓰는 날.
아날로그의 소리를 듣습니다.
계절을 담은 책을 읽습니다.
교토에서 만난 오늘의 메뉴.
집 안에 꽃병이 있는 풍경.
5. 나다움의 기본: 취향과 철학으로 쌓아가는 소중한 일상들
좋은 펜 한 자루의 힘.
나에게 꼭 맞는 커피.
어떤 언어를 말하고 있나요?
일상 속 행운 모으기.
시작할 땐 미소를 짓습니다.
이케바나가 알려준 삶의 기본.
한 접시 식사의 미학.
가을엔 좋아하는 니트 하나쯤.
담백하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나만의 풍습을 만듭니다.
책 속으로
타인의 이름을 얼마나 성실히 다루며 부르고 쓸 줄 아는가로부터 우리는 비로소 진심이라는 마음을, 볼 수 있는 형태로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 같습니다. (20p)
내가 쓰는 물건의 무게가 곧 생활의 무게감입니다. 가벼울 데는 가볍고 묵직할 데는 묵직하게, 일상의 굴곡을 부드럽게 가꿔봅시다. (39p)
기본을 가꾼다는 것은 나에게 가장 기분 좋고 편안한 모양새를 찾아가는 것입니다. (62p)
물건들이 놓인 풍경은 내가 쏟은 사랑의 풍경입니다. 물건의 모양은 내가 정성껏 빚거나 또는 무심코 던진 사랑의 모양입니다. (66p)
‘운’이라는 말은 조금은 추상적이지만,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좋은 행동을 할 수 있는 좋은 상태를 만들고 유지하는 것이라고요. (70p)
일단 먼저 나에게 가장 편안한 속도를 찾는다는 감각을 잊지 않도록 해 봅시다. 달려나가는 건 그 뒤입니다. (180p)
‘몸가짐.’ 사전의 뜻에 의하면 ‘몸을 거두는 일’이라고 합니다. 거둔다는 것은 벌여놓은 것들을 정리하는 것, 흩어져 있던 것들을 한데 모은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 ‘정갈한 집중’입니다. (210p)
질문은 스푼처럼. 부드럽게 떠올리는 느낌으로. 타인에게 건네는 모든 말은 무릇 스푼처럼 하는 것이 기분 좋지만, 그중에서도 질문의 말은 조금 더 특별하다고 생각합니다. 질문이란 모르는 사람의 세계를 처음으로 똑똑 두드리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217p)
모두에게는 삶이라는 흰 셔츠를 다리는 다리미가 있는 게 아닐까요? 각자의 삶을 곱게 다리기 위해 가지고 있는 견고한 도구, 말하자면 철학 같은 것 말입니다. (242p)
오늘이란 것은, 그런 것입니다. 일상 같아 보이지만, 언제나 단 하루뿐입니다. 그런 오늘에만 만날 수 있는 것과 성실히 만나는 것. 그것이 우리의 일상에도 필요한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251p)
작가 소개
소 원 (蘇 源)
기분 좋은 생활을 위한 만드는 라이프마인드를 이야기하는 1인 출판사 Neap을 운영하는 생활편집자. 서울과 일본을 기반으로 생활의 미학과 영감을 탐구한다. 홍익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해 ’디자인프레스’, ‘헤이팝’의 에디터를 거쳐 ‘센템’의 기획자로서 일하고 있다. 2023년 1월부터 <오늘의 기본> 시리즈를 매주 연재 및 출간하고 있다.
Instagram @won_i_wish
출판사 소개
Neap (닢)
기분 좋은 생활을 이루는 라이프마인드(lifemind)를 이야기하는 1인 소록집 출판사이다. 2023년도 1월부터 <오늘의 기본> 시리즈를 발행하고 있으며 생활과 글, 태도에 관한 일상 속 영감을 공유하고 있다.
Instagram @neap.lifemind
오늘은 기본 2
“기본이란 곧, 기분 좋은 것들의 컬렉션”
생활 속 기본의 미학을 추구하는
모든 라이프마인더들을 위한 책! 그 두 번째 이야기.
조금 더 나다운 것
조금 더 기분 좋은 것
조금 더 단정한 것
조금 더 상냥한 것을 찾아서.
가장 가까운 발밑의 일상을 사뿐히 걸어가는 1년 간의 생활 아카이브,
나에게 조금 더 기분 좋은 것들을 찾는 라이프마인드 에세이 시리즈 <오늘의 기본>.
‘라이프스타일(lifestyle)’이 아닌 ‘라이프마인드(lifemind)’가 필요한 시대, 변하지 않는 나다운 기본을 찾아가고 싶은 이들을 위한 지침서가 되어 줄 <오늘의 기본>은 1년 간 매주 하나씩, 기분 좋은 생활을 만드는 일상의 기록을 엮은 에세이 시리즈이다. 물건을 고르는 방법부터 단순한 식탁의 풍경까지 의, 식, 주, 물건, 즐거움과 마음가짐 총 6가지 생활의 영역을 다룬 1권에 이어 2권은 더욱 깊은 성찰과 시선이 녹아든 5가지 카테고리(온화함, 보살핌, 단정함, 충실함, 나다움)의 기본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 수집한 기분 좋은 생활을 만드는 일상 속 사물과 마음가짐 50가지와 더불어 본문 곳곳에 숨어 있는 따뜻한 추신과 계절의 이야기, 늦가을 교토에서 찾아 온 기분 좋은 삶의 힌트까지 한 권에 만나볼 수 있다.
“기본이란 그런 것입니다. 매일 기분에 따라 가볍게 고르고, 단순하게 갖춰야 하는 것입니다. 매일 양말을 고르듯 삶의 철학을 고릅니다. 나의 가장 발밑을 살피듯 나와 가장 가까운 일상을 가꿉니다. 하루하루를 가뿐하고 깨끗한 걸음으로 새롭게 마주해 나가는 요령입니다.” -들어가며 중에서
목차
1. 온화함의 기본: 사람들과 마주할 때 건네는 상냥한 사랑
이름을 불러준다는 것의 의미.
다정함은 손끝에서부터.
시원스러운 상냥함이란.
마음이 좋은 대화를 하는 법.
어떤 목소리를 듣고 있나요?
감사합니다라는 말버릇.
이름을 묻지 않는 모임.
질문은 수프를 뜨는 것처럼.
아이디어를 선물합니다.
편지지에 풍경을 담습니다.
2. 보살핌의 기본: 몸과 마음을 보듬는 성실한 손길
손을 관리하고 있나요?
잘하고 있다는 말.
입술을 촉촉하게 합니다.
스트레스는 식빵 같은 것.
내 몸에 딱 맞는 차를 마십니다.
좋은 머릿결을 위한 도구들.
가장 편안한 속도를 찾습니다.
생각이 많을 땐 배꼽을 앞으로.
영혼의 시간을 갖습니다.
먼저 찻잔부터 데웁니다.
3. 단정함의 기본: 일상을 산뜻하고 가볍게 가꾸는 요령
기다리는 자세의 미학.
딱 좋은 무게의 물건들.
단순한 욕실의 풍경.
물건을 다루는 다정한 손길.
기분 좋은 것들의 배신.
그릇에 여백을 둡니다.
편지를 쓰기 전에 손을 씻습니다.
때로는 아날로그 시계를.
물건을 상냥하게 대합니다.
짐싸기 파티 프로젝트.
4. 충실함의 기본: 생활을 풍요롭게 만드는 감각과 풍경
올해는 일간 다이어리를 써 봅니다.
여운을 음미하는 방법.
여름을 마중하는 물건들.
조금 더 기분 좋은 식사.
또박또박 만든 음식이란.
오늘은 현금 쓰는 날.
아날로그의 소리를 듣습니다.
계절을 담은 책을 읽습니다.
교토에서 만난 오늘의 메뉴.
집 안에 꽃병이 있는 풍경.
5. 나다움의 기본: 취향과 철학으로 쌓아가는 소중한 일상들
좋은 펜 한 자루의 힘.
나에게 꼭 맞는 커피.
어떤 언어를 말하고 있나요?
일상 속 행운 모으기.
시작할 땐 미소를 짓습니다.
이케바나가 알려준 삶의 기본.
한 접시 식사의 미학.
가을엔 좋아하는 니트 하나쯤.
담백하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나만의 풍습을 만듭니다.
책 속으로
타인의 이름을 얼마나 성실히 다루며 부르고 쓸 줄 아는가로부터 우리는 비로소 진심이라는 마음을, 볼 수 있는 형태로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 같습니다. (20p)
내가 쓰는 물건의 무게가 곧 생활의 무게감입니다. 가벼울 데는 가볍고 묵직할 데는 묵직하게, 일상의 굴곡을 부드럽게 가꿔봅시다. (39p)
기본을 가꾼다는 것은 나에게 가장 기분 좋고 편안한 모양새를 찾아가는 것입니다. (62p)
물건들이 놓인 풍경은 내가 쏟은 사랑의 풍경입니다. 물건의 모양은 내가 정성껏 빚거나 또는 무심코 던진 사랑의 모양입니다. (66p)
‘운’이라는 말은 조금은 추상적이지만,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좋은 행동을 할 수 있는 좋은 상태를 만들고 유지하는 것이라고요. (70p)
일단 먼저 나에게 가장 편안한 속도를 찾는다는 감각을 잊지 않도록 해 봅시다. 달려나가는 건 그 뒤입니다. (180p)
‘몸가짐.’ 사전의 뜻에 의하면 ‘몸을 거두는 일’이라고 합니다. 거둔다는 것은 벌여놓은 것들을 정리하는 것, 흩어져 있던 것들을 한데 모은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 ‘정갈한 집중’입니다. (210p)
질문은 스푼처럼. 부드럽게 떠올리는 느낌으로. 타인에게 건네는 모든 말은 무릇 스푼처럼 하는 것이 기분 좋지만, 그중에서도 질문의 말은 조금 더 특별하다고 생각합니다. 질문이란 모르는 사람의 세계를 처음으로 똑똑 두드리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217p)
모두에게는 삶이라는 흰 셔츠를 다리는 다리미가 있는 게 아닐까요? 각자의 삶을 곱게 다리기 위해 가지고 있는 견고한 도구, 말하자면 철학 같은 것 말입니다. (242p)
오늘이란 것은, 그런 것입니다. 일상 같아 보이지만, 언제나 단 하루뿐입니다. 그런 오늘에만 만날 수 있는 것과 성실히 만나는 것. 그것이 우리의 일상에도 필요한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251p)
작가 소개
소 원 (蘇 源)
기분 좋은 생활을 위한 만드는 라이프마인드를 이야기하는 1인 출판사 Neap을 운영하는 생활편집자. 서울과 일본을 기반으로 생활의 미학과 영감을 탐구한다. 홍익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해 ’디자인프레스’, ‘헤이팝’의 에디터를 거쳐 ‘센템’의 기획자로서 일하고 있다. 2023년 1월부터 <오늘의 기본> 시리즈를 매주 연재 및 출간하고 있다.
Instagram @won_i_wish
출판사 소개
Neap (닢)
기분 좋은 생활을 이루는 라이프마인드(lifemind)를 이야기하는 1인 소록집 출판사이다. 2023년도 1월부터 <오늘의 기본> 시리즈를 발행하고 있으며 생활과 글, 태도에 관한 일상 속 영감을 공유하고 있다.
Instagram @neap.lifemind